수면 아래의 문제들
1999년 당시 드림캐스트의 전망은 매우 밝은 듯 보였지만, 세가 내부에서는 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. 나카야마가 아케이드 사업부 총괄로 내려오고, 부사장이었던 이리마지리 소이치로가 나카야마의 자리를 대신하게 된 것이다. 얼마 지나지 않아 나카야마는 다른 사업 기회를 찾아 세가를 떠나고 만다. 이러한 변화 속에서, 세가의 모회사인 CSK 회장 오카와 이사오가 세가의 경영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기 시작했으며 곧 이어 그 자신이 CEO의 자리에 오른다.
스톨러는 아쉬운 목소리로 당시를 기억한다. "나카야마, 이리마지리 그리고 저는 서로 비전을 공유할 수 있는 사이였어요. 하지만 오카와하고는 그런 관계를 형성하기 힘들었죠." 사실 나카야마와 오카와의 비전은 서로 완전히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었다. 나카야마는 세가를 훌륭한 하드웨어 회사로 이끌어가고 싶어했던 반면, 오카와는 이러한 부분에 전혀 동의하지 않았다. 톰 칼린스키 역시 이 점을 다음과 같이 증언한다. "오카와는 나카야마에게 지속적으로 하드웨어 사업에서 손을 떼라고 종용했었죠. 그저 소프트웨어 회사로 남으라고 말이죠. 하드웨어 전쟁을 계속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식의 이야기를 처음부터 줄기차게 주장했어요."
경쟁관계도 한층 더 치열해질 전망이었다. 소니와 닌텐도가 차세대 기기를 내놓을 것이라는 건 불보듯 뻔했지만, 마이크로소프트가 다크 호스로 등장한다는 전개는 꽤나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. 그러나 스톨러에게 이 소식은 전혀 놀랍지 않았다. 드림캐스트의 개발 초기, 마이크로소프트가 세가에게 윈도우즈 CE의 드림캐스트 적용을 제안했었기 때문이다. 스톨러가 보기에 MS의 제안은 그 의도가 너무도 명백했다. 게임기 사업에 진입하기 위한 사전 포석 외에 다른 의미를 찾기 힘들었기 때문이다.
"[MS는] 아예 팀 하나를 세가에 파견했어요. 이들은 하드웨어 사업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파악한 뒤에 떠났죠. 저는 아예 세가를 마이크로소프트에 매각하라고 설득했고, 세가 중역들은 제 말을 들었어야 했어요. 그랬다면 그들도 그토록 원치 않던 하드웨어 사업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었을 테니까. 나는 [MS의 엔터테인먼트 & 디바이스 부문 사장인] 로비 바흐를 아주 잘 알고 있었고, 그에게 이렇게 말했죠. '어쩔 수 없으니 서로 해야할 일들을 하고 빨리 끝냅시다.' (한숨) 이런 일들이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종종 일어나곤 하죠." -버니 스톨러
그의 이야기에 따르면, 세가는 또 하나의 기회를 잃은 셈이다. 만약 MS가 드림캐스트를 자사의 콘솔로 선택했다면, 드림캐스트는 보다 더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의 도움을 받았을 수도 있다. 온라인 게임에 대한 지원 역시 더 탄탄했을지도 모르고, 어쩌면 세가는 새미와의 합병을 피할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. 이러한 가능성은 언제까지나 추측으로만 남을 뿐이지만.
외형적으로 세가는 여전히 그 힘찬 발걸음을 멈추지 않았다. 2000년에 이르러 세가는 자사의 창의적인 개발진들의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개발팀 전체를 준독립적인 개별 스투디오로 나누어 각 스투디오마다의 재량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체제로 전환을 꾀했다. 이러한 구조조정 덕분에 팬들은 특정 개발자의 게임들에 강한 유대감을 갖게 되었고, 세가는 그 역사 상 창의적인 역량이 가장 밝게 빛나는 눈부신 한 때를 보낼 수 있었다.
드림캐스트의 수명은 비록 길지 않았지만, 그 짧은 기간은 추억의 명작들로 가득했고, 이들 중 대부분이 시리즈물의 속편이 아닌 완전히 새롭게 만들어진 게임들이었다. 예전의 명작들을 울궈먹는 대신, 세가는 담대하고 창의적이며 다채로운 게임들로 새로운 세대의 팬층을 형성했다. 크레이지 택시, 젯 그린드 라디오, 셴무 등의 게임은 당시 청소년기를 보낸 게이머들에게 그들의 가장 즐거웠던 시간을 규정하는 추억들로 지금도 기억되고 있다. 독특한 육성 게임 시맨은 몇 안되는 드림캐스트의 일본 시장 히트작 중 하나이다. 드림캐스트에서 새롭게 시작된 시리즈는 하나 하나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다.
(다음 편에서 완결… 뒷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RSS로 구독하세요!

글: 트레비스 파스 / 번역: 페이비안 / 원문게시일: 2009.4.21 / 출처: IGN Retro
* IGN.com으로부터 전문 번역 허가를 받은 글입니다.
* '눈물없인 볼 수 없는, SEGA의 역사' 1편부터 보기 (클릭)
-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역사
- 닌자 가이덴의 역사
- 게임플랫폼: APPLE II의 역사
- 툼레이더와 라라 크로포트의 역사
- 비행슈팅 1942의 역사
- 파이날 판타지 VII의 역사
- 스트라이더 비룡의 역사
- 스트리트 파이터의 역사
- 아홉 장르로 풀어보는 게임의 발전사
- 바이오 하자드의 역사
- 게임계의 잊혀진 선구자들
- 지난 10년을 규정했던 10가지 비디오게임 트랜드
기타 게임관련 번역글 보기
- 닌텐도가 아이폰을 경계해야 하는 진짜 이유
- 닌텐도 Wii의 성공에 드리운 그림자
- 게임 역사상 가장 기묘한 만우절 농담: 바바트론 이야기
- 소니가 게임업계로 진출하지 않았더라면?
- 원숭이섬의 비밀 개발자, 론 길버트 신작 데스쓰팽크 인터뷰
추천(또는 View On)은 번역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.
'게임라이프 > 번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화, TV, 그리고 비디오게임: 터미네이터의 역사 -1- (11) | 2009.05.25 |
---|---|
눈물없인 볼 수 없는, SEGA의 역사 -완결- (27) | 2009.05.22 |
눈물없인 볼 수 없는, SEGA의 역사 -9- (8) | 2009.05.21 |
눈물없인 볼 수 없는, SEGA의 역사 -8- (6) | 2009.05.20 |
눈물없인 볼 수 없는, SEGA의 역사 -7- (6) | 2009.05.20 |